AIE5100 기초딥러닝 (Introduction to Deep Learning) - 3학점 |
AIE5101 강화학습개론 (Introduction to Reinforcement Learning) - 3학점 강화학습은 연속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머신러닝 패러다임으로서,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찾아내기 위한 방법론이다. 본 과목에서는 강화학습의 기반이 되는 수학적 이론과 최신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실습 및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문제에 강화학습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
AIE5102 패턴인식 (Pattern Recognition) - 3학점 패턴인식은 패턴매칭, 통계적 분석, 구조적 분석, 신경망 처리 등을 이용하여 패턴의 특성을 분석하는 학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통계적 패턴인식 방법, 고차원 데이터 처리, 군집화 및 신경망 기반 처리 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하게 된다.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의 학습과 프로젝트에서의 구현을 통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통찰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AIE5103 기초확률적기계학습 (Fundamental of Probabilistic Machine Learning) - 3학점 기계학습의 방법론 중 하나인 확률적 접근에 기반한 학습에 대해서 다룬다. 특히 확률이론, 가우시안 모델, 가우시안 프로세스, 베이지언 통계, 베이지언 네트워크 및 베이지언 최적화, 확률적추론, MCMC 등에 대해서 다룬다. 본 교과목은 수강생들이 기초적인 머신러닝과 확률 및 통계, 랜덤 프로세스에 대하여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
AIE5104 인과적기계학습 (Causal Machine Learning) - 3학점 현재 기계학습 기술들은 인과적인 관계에 의해 추론을 한다기 보다는 상관적인 관계에 의존하여 추론을 하고 있다. 비록 높은 성능을 달성하고는 있지만 현 상태에서는 고수준의 신뢰수준이 요구되는 작업에 기계학습 기술을 활용하기 어렵다. 본 교과목에서는 기계학습 기법들의 현 상황에 대하여 점검하고 인과적 관계를 활용하기 위해 어떤 장벽들을 해결해야 하는지 학습한다. |
AIE5105 컴퓨터비전 (Computer Vision)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이미지 생성, 표현, 처리에 대한 내용과, 딥러닝을 이용한 컴퓨터비전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하여 배운다. 이미지의 기본적인 처리 및 인식 방법, 2차원 또는 3차원 데이터로부터 피처를 추출하여 활용하고, 3차원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합성하는 방법에 대하여도 배우게 된다. 학생들은 다수의 프로그래밍 실습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컴퓨터비전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게 된다. |
AIE5106 기초자연어처리 (Introduction to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3학점 본과목의 목표는 최신 자연어처리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다. Word vector, context vector 생성 방법 및 ELMO(Embeddings from Language Model),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의 이해에 필요한 딥뉴럴넷 모델에 대해 공부한다. |
AIE5107 음성인식 (Speech Recognition) - 3학점 본과목의 목표는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요소인 음성인식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다. 딥러닝 기반의 음성인식 주요 기술 및 최근 기술 동향을 DNN-WFST, CTC, RNN-T, Seq2Seq, Tramsformer 중심으로 살펴보고, 음향모델은 DNN-HMM을 중심으로 언어모델은 n-gram 중심으로, 디코딩 네트워크는 WFST 중심으로 공부한다. 그리고, 음성인식 관련 오픈 소스 기반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
AIE5108 확장현실시스템 (Extended Reality System) - 3학점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그리고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기술을 아우르는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그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현 능력을 습득한다. |
AIE5109 오디오인식및합성변환 (Audio Recognition and Text-to-Speech) - 3학점 본과목의 목표는 오디오 이벤트 인식, 음악 인식, 화자인식, 음성 합성, 음성 변환, 음성인식용 언어모델에 필요한 기술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의 이해에 필요한 딥뉴럴넷 모델에 대해서 공부한다. |
AIE5110 기초대화처리 (Introduction to Dialogue Management) - 3학점 본과목의 목표는 목적지향 대화처리, chit-chat 대화처리 관련 최신 대화처리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다. 대화처리에 관련된 강화학습, end-to-end 방법, semantic decoder, dialogue state tracking등에 대해 공부한다. |
AIE5111 딥러닝과음악예술개론 (Introduction to Deep Learning for Music and Art) - 3학점 본 교과목은 딥러닝을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악보 채보와 새로운 음악 및 오디오를 합성하는 기초 이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딥러닝 구조를 설계하여, 딥러닝을 통해 음악을 이해하고 생성해내는 개요를 이해한다. |
AIE5112 소셜미디어데이터분석 (Introduction to Social Media Data Analysis) - 3학점 다양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초 기술을 배운다. 이를 위하여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그래프 모델링, 탐색 및 측정 기법등에 대한 기초 이론을 배우고, 소셜 미디어 데이터 분석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기술들을 공부한다. |
AIE5113 시계열데이터분석및예측 (Time Series Data Analysis and Forecasting) - 3학점 시계열 분석의 이해를 위해 다양한 시계열 자료 분석기법을 학습한다. 패널자료 분석, 시계열 분해 모델, ARMA, ARMAX, SARMAX 모델, 스펙트럴 분석, 딥러닝 모델의 개요를 학습한다. 시계열 분석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
AIE5114 데이터마이닝 (Data Mining) - 3학점 데이터로부터 지식을 도출해내는 데이터마이닝의 개념을 소개하고 지식도출을 위한 기계학습의 개념 및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다양한 응용에 적용해본다. 구체적인 주제로는 연관성분석, 의사결정트리, 베이지언추론, 지지벡터머신, 군집화, 심층학습, 강화학습 등이다. |
AIE5115 수치컴퓨팅및GPU프로그래밍 (Numerical Computing and GPU Programming) - 3학점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수치 계산 문제의 해결에 필요한 수치 해석 알고리즘을 다룬다. 또한 방대한 계산을 요하는 수치 계산 문제에 대하여 고성능 GPU 상에서의 병렬 프로그래밍을 통한 효과적인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하여 익힌다. |
AIE5116 병렬분산컴퓨팅 (Introduction to Parallel and Distributed) - 3학점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들의 처리 능력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산처리 프로그래밍 기법 및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실제 응용에 적용해 본다. |
AIE6001 인공지능수학 (AI Math) - 3학점 인공지능에 필요한 수학적 지식을 살펴본다. 데이터 전처리와 분석에 필요한 기초적인 확률 및 통계지식을 살피고, 벡터, 고윳값, 고유벡터 등을 다루는 선형대수학 그리고 딥러닝 이해를 위한 미분 등을 배운다. 또한 파이썬과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다. |
AIE6002 인공지능확률통계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AI) - 3학점 이 과목은 AI의 기본적 이론을 시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확률 모델 및 통계 처리 의 개념과 컴퓨터를 이용한 처리 방법을 다룬다. 기본적인 확률모형들에 대한 소개, 컴퓨터 언어를 이용한 확률모형의 접근방법, 통계처리의 기본개념, 컴퓨터 언어에 의한 계산적 통계처리방법, 확률 모형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등을 포함한다. |
AIE6003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처리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ing and Data Processing)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인공지능전공 학습을 위한 기본적인 파이썬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처리 방법에 대해 배운다. 구체적으로, 파이썬에서는 문법 뿐만 아니라 기초적인 객체지향프로그래밍 방식에 대해 배우고, 데이터처리에서는 Pandas와 Matplotlib 등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통한 빅데이터 정보추출 및 시각화에 대해 배운다. |
AIE6004 인공지능을 위한 신호처리 (Signal Processing for AI) - 3학점 음향, 전자기파, 영상 또는 센서 출력값 등 다양한 다양한 신호를 처리하는 기술에 대하여 학습하고, 그러한 신호처리 기술을 인공지능 분야에 응용하기 위한 방법을 다룬다. |
AIE6200 기초정보이론 (Fundamental Information Theory) - 3학점 머신러닝에 필요한 정보이론을 배운다. 엔트로피, 허프만코드, 채널의 상호정보, 채널용량, 샤논의 첫번째 정리, 샤논의 노이지 채널 정리, 오류정정 부호 등을 다룬다. |
AIE6202 빅데이터컴퓨팅(캡스톤디자인) (Big Data Computing(Capstone Design))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빅데이터가 어떻게 인공지능 혁명을 촉발시켰는지 기본이론에 대한 학습 및 다양한 실습을 통해 살펴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교과목에서는 학습 데이터의 분량과 레이블링의 종류에 따른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성능 변화를 관찰하며, 또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데이터 수집 과정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로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을 구축해본다. |
AIE6204 신경회로망 (Neural Networks) - 3학점 기존의 신경회로망들을 중심으로 동작원리 및 학습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문자, 음성, 영상 인식 등의 응용분야에 대해 다룬다. |
AIE6205 그래프 딥러닝 (Deep Learning on Graphs) - 3학점 지난 10여년동안, 딥러닝은 인공지능, 기계학습 등 분야의 매우 중요한 자리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반면에 그래프는 우리 일상에 아주 흔히 나타나는 복잡한 구조체이다. 이 이유로 딥러닝을 그래프로 표현된 데이터에 적용하는 방법은 최근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본 수업에서는 먼저 그래프의 기본 개념들, spectral 성질들에 대해 배우며, 그 다음 그래프에 적용된 딥러닝에 대해 배운다. 특히, graph recurrent neural networks, graph convolution, graph autoencoders 등에 대해 배운다. |
AIE6206 최적화이론 (Optimization Theory) - 3학점 다양한 제약조건 하에서 최적의 파라미터 값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룬다. 최적화를 위한 비용함수를 정의하고 다양한 제약조건을 반영하여 수식화하는 방법 및 비용함수를 최소화하는 파라미터 추정 방법에 대해서 이해하며, 다양한 응용 예를 소개한다. |
AIE6211 자연어 처리(캡스톤디자인) (Natural Language Processing((Capstone Design)) - 3학점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자연어를 처리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특히, SNS 상의 게시글의 의견 분석 (sentiment analysis), 기계번역, 자동 대화 기법 등에 대한 신경망 기반 기법들을 학습하고, 이를 구현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레이블링이 없는 방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자기지도학습 (self-supervised learning) 기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
AIE6212 양자정보과학과 인공지능 (Quantum information science for artificial intelligent) - 3학점 1900년대 중반에 형성된 고전 정보이론에 관한 기초적 내용을 알아보고 정보이론이 어떻게 물리이론과 결합되는지에 대해 논한다. 이후 첨단 과학 기술 발전의 토대가 된 물리이론인 양자역학의 상세 내용을 살펴보고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양자정보과학의 기본적 내용에 관해서도 정리해본다. 또한 이를 통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양자통신 및 양자컴퓨터의 기본 원리에 대해 설명을 하며 그러한 물리적 원리들이 어떻게 인공지능 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
AIE6213 현대응용통계 (Modern Applied Statistics) - 3학점 고등통계학의 현대적 응용을 고찰한다. 기계학습의 여러방법들을 통계학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그 방법론의 발전 과정을 살펴본다. 2개의 주요 주제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심층신경망(DNN)에 대한 해석으로, 일반화선형모형(GLM), 요인분석(FA) 방법이 다층퍼셉트론(MLP)과 오토인코더(AE), 어텐션(Attention) 등의 DNN 방법으로 발전하는 과정과 그 응용을 살펴본다. 두 번째는, 재표본법(resampling)의 응용으로, 배깅(Bagging)과 부스팅(Boosting)을 포함한 다양한 앙상블 방법의 의미를 해석하고, 전통적인 통계적 추론법과 재표본법을 이용한 모형선택 방법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다. 또 이를 분류/회귀나무 등에 응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
AIE6214 응용선형대수 (Applied linear algebra) - 3학점 선형대수는 응용학문을 위한 필수 교과목 중의 하나임. 본 교과는 정방형 행렬을 일반화한 임의크기 행렬에 대한 특이값분해, 주성분분석, 독립성분분석 등을 확률론과 통계적 개념을 통해 수리적 이론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함. |
AIE6400 확률기계학습 (Statistical Machine Learning) - 3학점 기계학습의 방법론 중 하나인 확률적 접근에 기반한 학습에 대해서 다룬다. 특별히 확률이론, 가우시안 모델, 가우시안 프로세스, 베이지언 통계, 베이지언 네트워크 및 그래피컬 모델, 베이지언 최적화, 생성적모델, 확률적추론, MCMC 등에 대해서 다룬다. |
AIE6401 고급신경회로망 (Advanced Neural Networks) - 3학점 딥러닝을 위한 심층신경망의 구조, 동작원리, 학습방법 등에 대한 이해와 함께 딥러닝을 적용할 수 있는 응용분야, 최근의 기술 동향 등에 대해 다룬다. |
AIE6402 기계학습 특론 (Topics in Machine Learning) - 3학점 기계학습 분야에서의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한다. 심층학습, 자기지도/준지도/지도 학습, 표현학습, 강화학습 등 주요 분야의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의료, 생물, 금융, 경제, 경영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 사례도 소개한다. |
AIE6403 최신딥러닝기술응용 (Application of Recent Deep Learning Technology) - 3학점 본 과목은 최신 딥러닝 관련 기술에 대한 소개와 실제 구현시 필요한 다양한 기법들과 응용에 대해서 다룬다. 구체적으로 network compression, network optimization, knowledge distillation, quantization 등에 대해서 다룰 예정이며, 최근 관련 학회에 나온 연구 내용 및 세부 기술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
AIE6404 계산적지능최적화 (Computational Intelligence Optimization) - 3학점 바이오 생명체 집단 또는 물리적인 현상을 근거로 하여 만들어진 최적화 문제들을 풀기위한 계산적 지능 최적화 알고리즘들의 분석 및 응용을 다룬다. 개미 집단 최적화 (Ant Colony Optimization), 유전자 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 담금질 기법 (Simulated Anneal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등의 알고리즘들과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의 기초 또한 다룬다. |
AIE6425 컴퓨터비전 특론 (Topics in Computer Vision)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컴퓨터비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최신 기술들을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최근 저널 및 컨퍼런스에 소개되는 기술들을 살펴보고 분석 및 검증한다. 이를 통해 컴퓨터비전 분야의 대표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현존하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수 있는 소양을 키우도록 한다. |
AIE6426 음성신호처리론 (Speech Signal Processing) - 3학점 음성을 포함한 음향 신호처리의 기본원리 및 응용기술을 중점적으로 배운다. 음향 신호처리에 기본이 되는 관련 디지털신호처리, 음성신호의 발생 및 모델링, 청각 시스템 및 신호 인지 과정, 몇 가지 해석 기법, coding 기법, 그리고 음성 합성, 향상, 인식의 원리를 이해한다. |
AIE6427 DNN 기반 음성대화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Spoken Dialogue System Based on DNN) - 3학점 음성대화시스템은 음성인식, 자연어처리, 대화관리, 음성합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DNN의 성공으로 모듈러 방식에서 End-to-End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DNN를 활용한 최신 음성인식, 언어이해, 대화관리 및 음성합성 기술을 소개하고 그러한 시스템을 공개 SW 기반으로 개발하는 방법 및 유지 보수 SW 등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도 설명한다. 또한 NVIDIA에서 제공하고 있는 음성언어 시스템인 Nemo와 상용화 솔루션인 Riva를 활용하는 멀티모달 대화시스템 개발 방법도 소개한다. |
AIE6428 영상이해 (Image Understanding) - 3학점 영상이해 및 기술을 위한 지식표현, matching, inference, learning, planning 및 control에 대해 다룬다. |
AIE6429 3차원영상정보처리 (Three 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 3학점 3차원 물체의 영상취득 모델링, 영상표현 기법, 정합, 인식, 움직임 검출, 스테레오 등과 관련된 3차원 영상정보처리 기법에 대해 다룬다. |
AIE6430 적응필터이론 (Adaptive Filter Theory) - 3학점 적응이 가능한 필터의 기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적응신호처리 알고리즘과 응용을 다룬다. 특히, steepest descent 방법, LMS 및 RLS 알고리즘, 비선형 적응필터에 대해서 살펴보고, system identification, noise cancellation, deconvolution, beamfoming과 같은 문제에 적용해 본다. |
AIE6431 카메라및디스플레이지능형영상처리기술이해(Understanding Camera and Display Intelligent Image Processing) - 3학점 본 과목은 인공 지능 기술에서 필수적인 입출력 기기인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해와 관련 지능형 영상 처리 기술들에 대해서 파악한다. 또한 획득된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최신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관련 지능형 영상 처리 기법과 시스템들에 대한 동작을 이해한다. 또한 관련 분야에서 최근 발표된 다양한 기술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
AIE6432 지능형비디오신호처리 (Intelligent Video Signal Processing) - 3학점 본 과목은 비디오 신호의 움직임 추정 및 해석, 프레임율 변환 등과 관련된 영상처리 및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동영상 처리 응용에 대해 다룬다. 또한 최근에 인공 지능 학회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기술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
AIE6450 소셜미디어 데이터분석 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Media Data Analysis) - 3학점 페이스북, 트위터, 위키, 유튜브등과 같은 다양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을 배운다. 이를 위하여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그래프 모델링, 탐색 및 측정 기법과 기본적인 데이터 마이닝 기법과 같은 핵심 기반 기술들을 배우고 이에 기반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 분석 기술인 Community Analysis, Information Diffusion, Influence and Homophily, Recommendation in Social Media, Behavior Analytics 등을 배운다. |
AIE6451 통계신호처리특론 (Special Topics on Statistical Signal Processing) - 3학점 확률 및 통계에 기반한 최신 신호처리 기법에 대해서 다룬다. 그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정보이론의 기초, 고차 통계적 특성 및 독립성, 그리고 파라미터 추정 및 최적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한 독립성분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기법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음향, 영상, 생체신호에 적용한 응용 예를 소개한다. |
AIE6452 딥러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 (Multimedia Data Retrieval using Deep Learning) - 3학점 대규모 멀티미디어 데이터 아카이브를 대상으로 내용 기반 (Contents-based) 이미지 검색을 위한 질의 이미지 생성 방법, 딥러닝 기반 특징 벡터 추출 방법, 인덱싱 방법, 그리고 성능 평가 방법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
AIE6454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Spatial Database Systems) - 3학점 공간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의 위치기반서비스(LBS), 지리정보, 멀티미디어, 이미지 프로세싱과 같은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되는 핵심 데이터인 다차원 공간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관리하는 기술에 대하여 배운다. 특히, 공간 데이터 모델, 공간 데이터 SQL 질의어, 공간 데이터 인덱싱 기법, 공간 조인 처리 기술, 공간 응용 질의어 처리 기법, Road Network에서의 LBS 질의처리 기술,공간 키워드 검색 기법들을 배운다. |
AIE6460 고급알고리즘설계와분석 (Advanced Algorithm Design and Analysis) - 3학점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설계 기법을 기준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 설계와 분석에 관하여 이론적인 내용을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
AIE6475 인공지능 시스템구조 (AI System Architecture) - 3학점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 조직, 구현에 대한 법칙과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고,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 재구성 및 최적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AIE6476 인공지능 임베디드시스템 (Embedded Systems for AI)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인공지능 응용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기본 구조 및 설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히 인공지능 응용에 특화된 CPU, GPU, FPGA, 및 메모리/스토리지 구조 등에 대하여 학습을 하고 다양한 응용의 가속기에 대학 학습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저전력 디자인 및 최적화된 시스템 디자인 이슈를 학습한다. |
AIE6477 인공지능 운영체제 (AI Operating System) - 3학점 본 교과목은 인공지능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계산 및 저장 장치의 추상화 및 관리 기술인 운영체제 최신 기술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첫째, 전통적인 단일 호스트 native 운영체제 기술과 인공지능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 멀티 호스트, 클러스터 기반 분산 운영체제 기술에 대해서 살펴본다. 둘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가상화 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자원 활용 최적화 기술을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GPU와 같은 가속기 기술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Co-Design을 위한 운영체제 기술을 살펴본다. |
AIE6478 음성처리특론 (Special Topics on Speech Processing) - 3학점 실세계 음성처리를 위한 다양한 신호처리 기법을 다룬다. 특히 실세계에서 취득된 음성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여 음성 향상을 수행하거나 잡음에 강인한 음성 인식을 위해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처리 기법으로서, 고전적인 통계신호처리 기법에서부터 다채널 신호를 이용한 적응신호처리 기법까지 다양한 신호처리 기법을 다루게 된다. |
AIE6479 음성정보처리특론 (Topics in Speech Recognition) - 3학점 Voice Interface 구현의 특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연구 동향을 다룬다. |
AIE6480 음성정보처리론 (Speech Processing) - 3학점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음성의 표현과 정보화 기법을 다룬다. 이 과목에서는 HMM(Hidden Markov Model)을 기반으로, 음향모델(Acoustic Model)과 언어모델(Language Model) 그리고 탐색(Search) 알고리즘의 구현을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
AIE6481 음성인식시스템해석및설계 (Analysis and Design of Speech Recognitions Systems) - 3학점 대용량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인 음성 데이터베이스, 음향모델, 어휘 모델, 언어모델, 학습 및 탐색 방법의 최근의 연구 동향을 사례연구를 통해서 배우고, 프로트타이프 설계 및 구현을 통하여 이를 확인한다. |
AIE6600 인공지능과 경영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usiness) - 3학점 본 과목은 인공지능에 관련된 이론, 사례, 실습으로 구성이 된다. 인공지능과 관련된 주요 이론과 함께 인공지능이 어떻게 경영학의 각 분야에 응용이 되는 지의 사례를 공부한다. 또한 인공신경망과 딥러닝 실습 프로그램으로 인공지능 모델을 만드는 실습이 병행 된다. |
AIE6601 AI기반 디지털마케팅 (AI based Digital Marketing) - 3학점 마케팅전략과 소비자활동에 대한 디지털정보가 많아지고, 인공지능기법이 발달함에 따라 디지털마케팅 전략의 실행과 분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졌다. 따라서 DNN방법 및 Reinforcement Learning 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과 Recommendation system을 포함한 디지털마케팅전략들을 학습한다. |
AIE6602 시계열 자료 분석과 예측(캡스톤 디자인) (Time Series Data Analysis and Forecasting(Capstone Design) - 3학점 시계열 분석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과 나아가 다양한 시계열 자료 분석기법을 학습한다. 시계열 분석기법으로 패널자료 분석, 시계열 분해 모델, ARMA, ARMAX, SARMAX 모델, 스펙트럴 분석, 딥러닝 모델 등을 학습한다. 시계열 분석의 주요 개념인 공적분, Granger 인과관계 등의 내용도 학습한다. |
AIE6620 AI금융을 위한 경제학기초 (Fundamentals of Economics for AI Financial Economics) - 3학점 AI금융전공 이수에 필요한 경제학 이론의 기초를 배운다. 거시경제이론, 금융경제학, 경기변동, 통화정책 등의 주제를 공부한다. |
AIE6621 AI금융 (AI Financial Economics) - 3학점 본 교과의 목표는 Machine Learning(이하 ML)과 Deep learning(이하 DL)의 활용과 한계점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금융시장에 적용되는 전통적인 방법론의 한계점과 DL과 ML의 장단점을 공부한다. DL/ML을 활용한 포트폴리오 구성, meta labeling, 단변량/다변량 entropy의 이해 및 금융시장 정보로서의 활용 방안을 다룬다. 사적정보와 공적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미시구조론적 모형을 이해하고, ML/DL의 활용 등을 다룬다. |
AIE6622 딥러닝을 활용한 네트워크 경제학 (Network Economics using Geometric Deep Learning) - 3학점 본 교과의 목표는 Geometric deep learning (GDL)을 이해하고 금융/경제학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공부한다. 통상적인 그래프의 기본개념(graph related statistics/measure)은 간략히 리뷰하고, graph convolution learning의 다양한 모형의 이해를 공부하면서, 거시경제 모형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금융시장 주제(산업간/기업/국가간 정보 흐름도, systemic risk, supply chain 등) 응용을 공부한다. |
AIE6623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제정보처리 (Economic Data Processing using AI and Big Data) - 3학점 기계학습을 활용하거나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모으고 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과목을 통해 구체적인 실습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연구 수요에 맞게 준비하고 전산화하는 방법을 배운다. 실습을 통해 활용할 원 자료의 형태는 스캔이 된 문서나 종이 지도, 위성 영상, GIS 벡터 및 라스터 데이터, 엑셀파일 등이다.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으로는 python의 다양한 library, QGIS, STATA 등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정형 및 비정형 자료를 기계학습과 실증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역량을 축적한다. |
AIE6624 금융자연어분석 (Financial Sentiment Analysis) - 3학점 금융시장에서 자연어 관련 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자연어 분석 알고리즘의 급속한 발전과 금융시장의 feature engineering의 필요성이 맞물려 해당 분야의 중요성은 AI시대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이에 본 과목에서는 자연어 분석의 기본적인 틀을 배우고, 최근 활발히 연구중인 BERT류의 알고리즘을 금융분야의 자연어에 응용하는 방법과 이를 금융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특히 금융분야의 경우 금융감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라벨링 방식은 일반적인 자연어 라벨링과 상이할 수 있다. 이에 그 차이는 무엇이며, 자연어와 빅데이터를 결합한 라벨링 방법 등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
AIE6641 핵의학영상시스템 (Nuclear Medicine Imaging System) - 3학점 방사선 종류 및 발생 원리를 소개한다. 방사선 검출 센서 원리 및 종류, 아날로그신호처리, 디지털신호처리, 핵의학영상재구성 및 표현 방법을 공부한다. 감마카메라, SPECT(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등 핵의학 영상기기 원리와 최근 발전 동향을 연구한다. |
AIE6642 의료영상시스템 (Medical Imaging Systems) - 3학점 x-선 radiography, CT, MRI, 초음파영상기 등 현대 의료 영상시스템의 물리적 원리,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신호 및 영상처리 기술, 시스템 구조, 성능 평가 방법, 임상 응용 기술 등에 대해 공부한다. |
AIE6643 초음파영상시스템설계 (Ultrasound Imaging System Design) - 3학점 의료영상, 비파괴검사, SONAR 등에 사용되는 초음파영상시스템의 원리와 활용법을 배운다. B-mode 영상, flow 영상, harmonic 영상에 관한 초음파 전파 이론과 기술에 대하여 학습하고, 현재기술 수준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도 학습하게 된다. |
AIE6660 비주얼 오도메트리와 증강현실 (Visual Odometry and Augmented Reality) - 3학점 이 과목은 AI의 응용분야 중 하나인 비디오 기반 증강현실/확장현실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컴퓨터 비젼 이론과 알고리즘을 다룬다. 카메라의 기하적 모델링과 계산 알고리즘, 자세 추정 알고리즘의 이론 및 계산, 컴퓨터 그래픽스 엔진과의 연결방법 등을 소개한다. |
AIE6661 메타버스: 설계 및 개발(캡스톤 디자인)(Metaverse: Design & Development(Capstone Design)) - 3학점
|
AIE6662 미디어 아트 특론 (Theory and Practice in Media Arts) - 3학점 본 과목에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와 이 기술의 첨단에 있는 인공지능, 특히 머신 러닝 기법을 미디어 아트에 응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구현한다. 그리고 이런 실천과 함께 이 실천을 비평할 수 있는 시각을 가지는 생각훈련을 수행한다. |
AIE6663 예술 창작을 위한 딥러닝 (Deep Learning for Creative Arts) -3학점 이 교과목에서는 예술 창작에 활용되는 GAN과 VAE 같은 대표적인 생성모델의 기초와 Style Transfer, Cross-modality 등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러한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인 예술 작품을 소개하며 수업을 통해 직접 자신만의 창의적인 응용을 실습한다. |
AIE6664 딥러닝을 이용한 음악 분석 및 생성 (Analysis and Generation of Music with Deep Learning) - 3학점 본 교과목은 딥러닝을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는 음악 태깅, 악보 채보와 같은 작업 및 새로운 음악 및 오디오를 합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디오나 MIDI 같은 다양한 음악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알맞게 처리하는 딥러닝 구조를 설계하며 딥러닝을 통해 음악을 이해하고 생성해내는 과정을 실습한다. |
AIE6680 스마트 AI 융합 특론 (Smart AI Industry and Technology) - 3학점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AI기반의 융·복합기술은 산업 전반을 넘어 사회 패러다임과 우리의 생활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요 산업 중 자율주행 자동차, 지능형 로봇, 스마트홈·오피스, 빅데이터, 차세대 통신, 지능형 반도체 등의 산업과 기술을 중심으로 최신 기술에 대한 이론과 실무지식을 학습한다. 뿐만 아니라 각 분야별 LG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을 통하여 최신 산업과 서비스, 기술에 맞는 실무 응용 지식과 산업 현장 감각을 익히도록 한다. |
AIE6681 디지털휴먼엔터테인먼트 특론 (Special Topic on Digital Human and Entertainment)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AI기반 융복합기술을 가상현실 등의 실감콘텐츠, 음악과 게임 등의 문화예술컨텐츠에 중점을 두어 학습한다. 이와 더불어 음성 인식, 강화학습, 자연어처리 등의 인공지능기술이 어떻게 위 컨텐츠에 적용되는지도 배운다. |
AIE6800 인공지능심화 캡스톤디자인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Capstone Design) - 3학점 인공지능 관련 지식을 토대로 창의적 작품, 실용적 작품, 연구/개발 등을 개인 단위 또는 팀 단위로 설계/제작/결과 도출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이론 위주로 배웠던 지식을 실제 문제에 적용해 가는 과정을 경험하고 이해의 폭을 넓힌다. |
AIE6801 인공지능 챌린지실습 I (AI Challenge Practice I)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경쟁형 기술개발 방식의 인공지능 챌린지에 수강생들이 참여하여 문제 해결 역량을 키운다. 개설학기 별 담당교수의 지정분야 (예: 컴퓨터비전, 자연어처리, 음성인식, 금융, 경제, 바이오, 제조 등) 의 챌린지에 참여 및 측정 가능한 달성 목표를 세우고, 해당 목표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
AIE6802 인공지능 챌린지실습 II (AI Challenge Practice II)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인공지능 챌린지실습 I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심화 발전시키기 위한 이론적, 기술적 검증, 최적화 및 경량화, 성능 고도화 방법을 학습한다. 인공지능 챌린지실습 I에서 달성한 챌린지 성능을 상향 조정하여 달성하도록 한다. |
AIE6805 인공지능 콜로키움 (AI Colloquium)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전반적인 인공지능 관련 분야에 대한 주제들을 세미나 형식을 통해 토론을 진행한다. 머신러닝, 인지지능, AI시스템, 데이터사이언스, AI+X 그리고 AI 윤리 등의 주제들을 다루며 학생들의 적극적인 토론 참여를 유도한다. |
AIE6811 고급인공지능 현장 실습I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ship I) - 3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인공지능 기업체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해 현업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실습해본다. |
AIE6812 고급인공지능 현장 실습Il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ship II) - 3학점 |
AIE6813 인공지능 산학프로젝트 실습 (AI Industry Project Exercise) - 2학점 본 교과목에서는 인공지능 관련 기업체와 연계된 프로젝트를 통해 의미있는 연구 및 실무경험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고, 인공지능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경험해 본다. |
AIE6901 특수연구Ⅰ(Special Study Ⅰ) - 3학점 |
AIE6902 특수연구Ⅱ(Special Study Ⅱ) - 3학점 |
AIE6921 세미나 I (Seminar I) - 1학점 인공지능 발전에 기여한 연구논문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대하여 발표하고 토의한다. |
AIE6922 세미나 Ⅱ(Seminar Ⅱ) - 1학점 인공지능 발전에 기여한 연구논문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대하여 발표하고 토의한다. |
AIE6923 세미나 Ⅲ(Seminar Ⅲ) - 1학점 교수의 지도에 따라 석사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
AIE6924 세미나 Ⅳ(Seminar Ⅳ) - 1학점 교수의 지도에 따라 석사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